KR 웹진 172호
- 2021년 12월
- 2021년 11월
- 2021년 10월
- 2021년 09월
- 2021년 08월
- 2021년 07월
- 2021년 06월
- 2021년 05월
- 2021년 04월
- 2021년 03월
- 2021년 02월
- 2021년 0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10월
- 2020년 09월
- 2020년 08월
- 2020년 07월
- 2020년 06월
- 2020년 05월
- 2020년 04월
- 2020년 03월
- 2020년 02월
- 2020년 0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09월
- 2019년 08월
- 2019년 07월
- 2019년 06월
- 2019년 05월
- 2019년 04월
- 2019년 03월
- 2019년 02월
- 2019년 0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09월
- 2018년 08월
- 2018년 07월
- 2018년 06월
- 2018년 05월
- 2018년 04월
- 2018년 03월
- 2018년 02월
- 2018년 01월
- 2017년 12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09월
- 2017년 08월
- 2017년 07월
- 2017년 06월
- 2017년 05월
- 2017년 04월
- 2017년 03월
- 2017년 02월
- 2017년 01월
- 2016년 12월
- 2016년 11월
- 2016년 10월
- 2016년 09월
- 2016년 08월
- 2016년 07월
- 2016년 06월
- 2016년 05월
- 2016년 04월
- 2016년 02월
- 2016년 01월
- 2015년 12월
- 2015년 11월
- 2015년 10월
- 2015년 09월
- 2015년 08월
- 2015년 07월
- 2015년 06월
- 2015년 05월
- 2015년 04월
- 2015년 03월
- 2015년 02월
- 2015년 01월
- 2014년 12월
- 2014년 11월
- 2014년 10월
- 2014년 09월
- 2014년 08월
- 2014년 07월
- 2014년 06월
- 2014년 05월
- 2014년 04월
- 2014년 03월
- 2014년 02월
- 2014년 01월
- 2013년 12월
- 2013년 11월
- 2013년 10월
- 2013년 09월
- 2013년 08월
- 2013년 07월
- 2013년 06월
- 2013년 05월
- 2013년 04월
- 2013년 03월
- 2013년 01월
- 2012년 12월
- 2012년 11월
- 2012년 10월
- 2012년 09월
- 2012년 08월
- 2012년 07월
- 2012년 06월
- 2012년 05월
- 2012년 04월
- 2012년 03월
- 2012년 02월
- 2012년 01월
- 2011년 02월
- 2011년 12월
- 2011년 11월
- 2011년 10월
- 2011년 09월
- 2011년 08월
- 2011년 07월
- 2011년 06월
- 2011년 05월
- 2011년 04월
- 2011년 03월
- 2011년 01월
- 2010년 12월
- 2010년 11월
- 2010년 10월
- 2010년 09월
- 2010년 08월
- 2010년 07월
- 2010년 06월
- 2010년 05월
- 2010년 04월
- 2010년 03월
- 2010년 02월
- 2010년 01월
- 2009년 12월
- 2009년 11월
- 2009년 10월
- 2009년 09월
- 2009년 08월
- 2009년 07월
- 2009년 06월
- 2009년 05월
- 2009년 04월
- 2009년 03월
- 2009년 02월
- 2009년 01월
- 2008년 12월
- 2008년 11월
- 2008년 10월
- 2008년 09월
- 2008년 08월
- 2008년 07월
- 2008년 06월
- 2008년 05월
- 2008년 04월
- 2008년 03월
- 2008년 02월
- 2008년 01월
- 2007년 12월
- 2007년 11월
- 2007년 10월
- 2007년 09월
- 2007년 08월
- 2007년 07월
- 2007년 06월
- 2007년 05월
- 2007년 04월
- 2007년 03월
- 2007년 02월
- 2007년 01월
- 2006년 12월
- 2006년 11월
- 2006년 10월
- 2006년 09월
- 2006년 08월
- 2006년 07월
- 2006년 06월
- 2006년 05월
- 2006년 04월
- 2006년 03월
- 2006년 02월
- 2006년 01월
- 2005년 12월
- 2005년 11월
- 2005년 10월
- 2005년 09월
- 2005년 08월
- 2005년 07월
- 2005년 06월
- 2005년 05월
- 2005년 04월
- 2005년 03월
- 2005년 02월
- 2005년 01월
- 2004년 12월
- 2004년 11월
03
2019년 03월
최근 싱가포르, 중국에 이어 아랍에미리트의 일부 항까지 개방형
스크러버의 세정수 배출 금지 정책이 연이어 발표되면서,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뜨거웠던 스크러버 설치 열기가 주춤하는 추세이다.
이에 대해 스크러버 옹호론자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세정수가 바다에 얼마만큼 유해한지 아무런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스크러버 세정수를 둘러싼 엇갈린 주장들이 선주들의 고민을 더욱 커지게 하고 있어, 이러한 주장들의 사실 유무와 그 한계들을 짚어 볼 필요가 있다.
KR이 조사해 본 바에 따르면, 국내 8개 대형 조선소에 발주되는 신조선 중 스크러버 설치 비율은, 2018년 이전 25%에서, 2018년 상반기 61%, 3분기 86%까지 치솟았다.
이러한 움직임은 신조선 뿐만 아니라 현존선도 마찬가지였다. 대형선을 위주로 스크러버 설치 계획이 계속해서 발표되었고, 이에 따라 메이저 스크러버 제조사들은 일찌감치 한두 해 일감을 모두 계약함은 물론 설치
경험이 전무한 후발주자들도 주문이 폭주하였다. 이들 대부분이 개방형 스크러버였다.
하지만, 세계 최대 벙커링 항구인 싱가포르와 최대 수출입국인 중국이 개방형 스크러버의 세정수 배출 금지 정책을 발표하면서 그 열기는 주춤해졌다. 게다가 지난해 톤당 300~350달러/톤까지 예상되던 저황연료유와 고황연료유의 가격차이가 최근의 연료유 폭락세와 함께 줄어들고 있어, 점차 많은 사람들이 개방형 스크러버의 경제성에 의문을 갖기 시작하였다.
그렇다면 세정수는 환경적으로 얼마나 유해한 것이며, 배출 금지 지역은 얼마나 늘어날 것인가? 지난해 IMO MEPC73차 회의에 제출된 문서에 따르면, 22척의 선박(18척 개방형, 4척 폐쇄형)에서 채취한 세정수 분석
결과, PAHs, 중금속 등은 IMO의 기준과 산업 배출기준을 훨씬 하회하는 수준의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올해 PPR6차 회의에 제출된 문서(5척으로부터 채취)에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이며, 스크러버 세정수 배출에 심각한 우려를 표하였다. 이처럼 분석 자료들이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세정수의 환경 영향도를 판단하기 어렵고, 앞으로도 한동안은 그 누구도 단언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확실한 근거가 없는 상태에서 IMO 역시 세정수 배출 규제를 강화하기 어려울 것이다. 또한, 근거가
있어 규제를 한다 하더라도 IMO의 통상적인 정책결정 속도를 감안한다면 수년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ECA(Emission Control Areas)처럼 배출 규제지역으로 지정 받기 위해서는 우선 배출 규제지역이 되기 위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고, 해당지역으로 지정 받기 원하는 나라는 기준에 맞게 연구/조사 후 그 결과를 IMO에
제출해야 하며, 규제지역으로 지정 받는다 하더라도 협약이 발효되는데 최소 1~2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공해상에서의 규제는 IMO에 의해서만 가능하므로, 이는 역으로 말해 최소 수년간은 공해상에서
스크러버 세정수를 규제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여전히 항만과 연안국은 관할 지역 내
배출 금지를 지정할 수 있지만, 이는 자국 법에 의한 금지 조치로 대부분 연안지역에 머무를 것이란 예측이 다수이다.
현재 개방형 스크러버를 설치하는 대부분의 선박은 대형선으로, 이러한 금지 지역 확대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 선박은 워낙 많은 연료유를 소모하고 연안 운항 비율이 높지 않기 때문에 그러하고, 중형 이상의 벌크나 탱커도 연안 운항 비율이 높지 않아 그러하다. MR tanker 신조선의 경우, 전체 운항 중 30%를 저황연료유로 운항한다 하더라도 250$/ton의 연료유 차이에서는 투자비 회수기간이 2년 정도이다. 대형선들은 동일한 조건에서 1년이 채 걸리지 않는다. 2020년 이후 처음 1~2년간은 저황연료유와 고황연료유간의 가격차가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협약 시행 초기에 설치를 완료한 선박들은 짧은 시간 내에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해보자면, 현재 확대되는 세정수 배출 금지 지역은 수년간은 연안지역에 머무를 가능성이 높고 개방형 스크러버를 설치하는 선박이 대부분 연안항해 비율이 낮은 선박임을 감안한다면
이러한 규제지역 확대가 개방형 스크러버 설치 열기를 식힐 수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있어 보이진 않는다.
다만, 연안항해 비율이 높은 중소형 선박들에게 개방형 스크러버의 경제성이 떨어지는 것은 확실하다. 2020년 협약 시행을 앞두고 점차 많은 국가들이 동 규제를 검토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선사는 보유 선박의 운항지역을 고려한 개방형 스크러버 운항 비율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